분류 전체보기4 과수에 이용되는 생장조절물질 과수에 이용되는 생장조절물질 계속해서 과수에 이용되는 생장조절물질을 알아보도록 한다. (3) 포도 최근에 포도 재배농가에서 식물생장조절제의 이용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적용 대상작물에 대한 생장조정제의 종류와 농도의 인식부족 및 사용방법의 미숙으로 피해를 가져오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생장 조정제 지베렐린은 각종 원예작물에 대한 효과가 현저하여 여러 작물에 이용되고 있지만 포도처럼 유용하게 이용되는 작물은 없다. 즉, 델라웨어 품종은 지베렐린 처리에 의하여 무핵화를 꾀할 수 있고, 숙기(熟期)를 촉진시킴으로써 조기출하에 의한 출하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의 상품성 향상 및 수량증대와 유통조절로 농가소득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 처리방법 처리방법은 송이를 침지.. 2022. 8. 1. 식물호르몬 : 앱시스산 식물호르몬 : 앱시스산 5. 엡시스산 (ABA) - 엡시스산은 식물의 잎, 꽃, 과실 등의 기관의 탈리를 촉진하고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식물 호르몬이다. 목화는 성숙되기 전에 낙과가 많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에 대하여 Addicott 등이 그 이유가 궁금하여 그 원인을 조사하였고, Liu와 Carns(1961)는 목화꼬투리에서 결정물질을 추출하여 엽신을 제거한 목화유묘에 처리한 결과 엽병이 탈락하여 이것을 ‘엡시스‘라고 불렀다. 1963년 오오꾸마는 어린 목화의 과실에서 제2의 물질을 결정형태로 추출하였으며 탈리작용성이 아주 강하여 이를 ‘엡시스 Ⅱ’로, 이보다 먼저 발표된 물질을 ‘엡시스Ⅰ’이라고 불렀다. Robinson 등(1963)은 단풍나무 등 많은 식물의 눈이 가을에 휴면하여 이듬해 다.. 2022. 8. 1. 식물 호르몬 : 시토키닌 그리고 에틸렌 식물 호르몬 : 시토키닌 그리고 에틸렌 앞서 총 5개의 식물호르몬 중 옥신과 지베릴린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제 시토키닌과 에틸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다음 챕터에서는 앱시스산 (AB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3. 시토키닌 - 시토키닌은 식물에서 세포불열을 일으키는 호르몬으로 대부분이 핵산을 구성하는 아데닌의 유도체이다. 따라서 시토키닌은 세포분열이 왕성히 일어나는 부분에 많이 분포하며 식물의 조직배양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사이토키닌의 발견은 식물조직배양에 관한 스쿡 등의 1946년 무렵의 연구가 최초로, 그들은 피층, 유관속 및 수 등의 조직을 포함하는 담배의 줄기절편을 옥신 존재 하에서 무균배양하자 수(髓)세포에서 확대와 분열을 수반하여 증식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편 뿌리절편에서 유관속.. 2022. 8. 1. 식물호르몬 : 옥신과 지베릴린 식물호르몬 : 옥신과 지베릴린 한 학기 동안 재배식물 생리학뿐만 아니라 화훼원예 총론, 식물 번식학 등에서 식물들의 생육과 구조 등을 이론적으로 배웠다. 식물은 동물과는 달리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어 외관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비교적 빠르고 간단명료하게 나타나 기댓값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그 기댓값은 소비자의 기호에 의한 설정인지, 재배자의 편의를 위한 설정인지도 알고 싶었기에 본 과제는 나의 생물학적 지식 습득과 정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식물호르몬 : 식물체가 생육하기 위해선 외부에서 수분이나 빛에너지 그리고 몇몇 필수적인 비광물성-광물성 원소가 필요하며 더불어 체내에서 특수한 화학물질이 있어야 한다. 이 화학물질은 식물이 생육하면.. 2022. 8. 1. 이전 1 다음